*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축약어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규칙)
우리가 어느 사이트에 들어갈 시 서버에 html,css,이미지등 자원을 요청,
서버에서는 해당자원을 응답하여 전송함
여기서 html,css,이미지와 같은 자원들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기위해선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아야 하는데,
그 메시지의 형태를 약속한 것이 http 프로토콜
HTTP 요청 메소드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Methods
HTTP 요청 메서드 - HTTP | MDN
HTTP는 요청 메서드를 정의하여,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간혹 요청 메서드를 "HTTP 동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각각의 메서드는 서로 다른 의미를 구현하지만, 일부
developer.mozilla.org
GET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의 표시를 요청합니다. GET을 사용하는 요청은 오직 데이터를 받기만 합니다.
HEAD 메서드는 GET 메서드의 요청과 동일한 응답을 요구하지만, 응답 본문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실제문서를 요청하는 것이 아닌 문서의 정보를 요청한다.
POST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에 엔티티를 제출할 때 쓰입니다. 이는 종종 서버의 상태의 변화나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내고싶은 정보를 추가로 보낼 수 있습니다.
PUT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 모든 현재 표시를 요청 payload로 바꿉니다.
POST가 insert라면 PUT은 update
DELETE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CONNECT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로의 터널을 맺습니다.
OPTIONS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의 통신을 설정하는 데 쓰입니다.
해당 서버url에서 가능한 요청메소드의 종류를 알기위한 요청메소드입니다.
TRACE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의 경로를 따라 메시지 loop-back 테스트를 합니다.
PATCH 메서드는 리소스의 부분만을 수정하는 데 쓰입니다.
PUT과는 달리 자원의 일부만을 수정
HTTPS
https와 http의 차이점은 바로 보안
http에 SSL인증서라는 보안기능을 추가한 것이 https
SSL인증서가 http프로토콜로 이동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해주는 역할을 하여
중간에 데이터를 훔쳐낸다고 해도 알아내기가 힘듭니다.
추가적으로 구글에서는 https를 사용하면 seo면에서 추가점수가 있음
실제로 중간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고
http,https의 차이점을 직접 보고 싶어서 추가작성함
네트워크 상에서 오가는 패킷을 확인하려면 Wireshark를 사용하라 함
Wireshark · Go Deep.
What is SharkFest? SharkFest™, launched in 2008, is a series of annual educational conferences staged in various parts of the globe and focused on sharing knowledge, experience and best practices among the Wireshark® developer and user communities. Shar
www.wireshark.org
다운로드 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옴
대충 아무 https 사이트에 들어가 확인해보니 저렇게 암호화된 데이터라고 있긴함
http인 사이트에서 확인하면 http 패킷 송수신 시 더 자세하게 나오긴 하네요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L (0) | 2022.09.13 |
---|---|
IP (인터넷 프로토콜) (2) | 2022.09.11 |
웹 사용자 인증방식 [ 쿠키 , 세션 , 토큰 ] (0) | 2022.03.09 |
콘텐츠 보안 정책 (CSP) Content-Security-Policy (0) | 2022.01.28 |
DNS란? (0) | 2022.01.24 |
댓글